책소개
서울시교육청의 ‘서울형 혁신학교’로 지정된 7개 혁신학교들(원당초등학교, 하늘초등학교, 상원초등학교, 삼정중학교, 북서울중학교, 휘봉고등학교, 삼각산고등학교)이 지난 1~2년 동안 운영한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과 수업 사례를 소개하는 책. 이 책에서 소개되는 7개 학교들의 교육과정은 전국적으로 이루어지는 혁신학교들의 성과를 이어받아 그것을 자신들의 지역사회의 실제 환경과 경험을 살려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것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에도 반영한 것이다.
수업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것은, 실제 생활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암기 지식이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이다. 원당초등학교의「놀이로 배우는 ‘갈등과 평화’」에 소개된 ‘연필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협상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운다. 하늘초등학교의 「아! 민주주의」에서 아이들은 스스로 자신들의 공화국을 만들어 자신들이 만든 사법부가 자신들 사이에 발생한 실제 갈등을 조정하고 중재하는 것을 통해 민주주의를 실제로 경험하고 배운다. 삼정중학교의 「온 동네가 함께하는 탄소 줄이기」에서 소개하는 삼정 절전소를 보면, 삼정중학교 학생회는 체계적인 캠페인을 통해 16%의 전기에너지 소비 감축이라는 기적 같은 성과를 보여주었고, 이 활동을 가정과 지역사회로 확대하는 활동으로 확대해가고 있다.
이것은 영어 단어, 수학 공식, 법률 규정을 암기함으로써는 절대로 알 수 없는 것이며 수업이 현재와 미래의 사회생활에 필수적인 지혜를 학생들이 함께 배우는 과정으로,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을 쌓는 과정이 되고 있다.
목차
추천사
놀이로 배우는 ‘갈등과 평화’ - 원당초등학교
1. 드라마처럼 연결되는 ‘평화’ 수업을 위해
2. 비언어적 의사소통
3. 경청하기 - 공감하며 듣기
4. 평화로운 대화 연습하기
5. 갈등 짚어보기
6. 갈등 해결 접근하기
7. 합리적 의사결정 방법 익히기
8. 평화로 한 걸음 더
9. 선생님들께 드리는 제안
아! 민주주의 - 하늘초등학교
1. 가치 중심으로 초등 교육과정 다시 짜기
2. 교과서 안의 민주주의
3. 우리 일상의 민주주의
4. ‘아! 민주주의’ 교육과정
5. ‘아! 민주주의’ 수업 사례
6. 마무리하며
‘나와 우리’ 3월 주제 통합 수업 - 상원초등학교
1. 자기 소개하기
2. 우리 반 꿈나무
3. 나의 위치 알아보기
4. ‘나는…’ 시 쓰기
5. ‘나’의 감정 알아보기
6. ‘나’의 몸 알아보기
7. ‘나’의 가치 알아보기
8. ‘다르다’ 알기
9. 학급 규칙 만들기
10. 친구 알기
11. 생일 달력 만들기
12. 평화를 만드는 말 연습하기
13. 적극적인 경청 연습
14. 짝 체조 만들기
15. 친구 찾기 놀이
16. 친구와 우정의 의미
17. 비폭력 대화
온 동네가 함께하는 탄소 줄이기 - 삼정중학교
1. 탄소 줄이기 통합 교육과정 만들기
2. 삼정 절전소(節電所)
3. 탄소 줄이기 통합 교과교육
4.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탄소 줄이기 생태환경교육
5. 학교 축제 - ‘삼정 푸른 별 온새미로’
6. 마치며
체험활동과 교과를 연결한 주제 통합 수업 - 북서울중학교
1. 북서울중학교 수업 혁신 과정에서 얻은 것들
2.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한 통합 프로젝트 수업
3. 교과와 연계된 주제 통합 프로젝트 수업
4. 주제 통합 수업 활동지와 자료
평화로운 학교 만들기 - 휘봉고등학교
1. 주제 선정의 이유와 과정
2. “방사능은 국경이 없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 생활과 철학
3. 내 마음의 서랍장 - 진로
4. 불편해도 괜찮아 - 사회
5. 평화로운 고대국가 만들기 - 한국사
6. ‘평화’와 함께 떠오르는 생각의 그물 - 특수교육(국어)
7. 평화로운 학교를 만들자 - 주제 탐구
8. 휘봉고등학교 학생 생활 규정과 3주체 자율협약
기후변화 주제 범교과 프로젝트 수업 - 삼각산고등학교
1. 왜 통합적 지식이 필요한가?
2. 주제를 어떻게 선정했는가?
3. 주제에서 무엇을 교육하고자 했는가?
4. 교과 교육과정과 어떻게 연결하려고 했는가?
5. 수업에서 무슨 활동이 어떻게 실행되었는가?
6. 평가와 과제